[일반] 김태형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 과제 선정
- 지능형정밀헬스케어융합학과
- 조회수109
- 2025-03-12
김태형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 과제 선정
- 김태형 교수, 3차원 나노소재 다중 레이어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로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유형1-글로벌 협력, 연 약 3억/5년) 과제 선정
- 구경모 박사후연구원, 세포 역노화 모니터링용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로 세종과학펠로우십 (국내트랙, 연 약 1.3억/5년) 과제 선정
▲(왼쪽부터) 김태형 교수, 구경모 박사후연구원
◇ 김태형 교수·구경모 박사, 중견연구자지원사업·세종과학펠로우십 선정
김태형 교수 연구팀이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유형1-글로벌 협력과제)’에 선정됐으며, 같은 연구실의 구경모 박사후연구원도 ‘세종과학펠로우십 (국내트랙)’에 최종 선정됐다.
◇ 김태형 교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선정… 3D 나노소재 기반 삼배엽체 형성 플랫폼 개발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은 창의적인 개인 연구를 지원해 중견급 연구자의 기초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리더 연구자로 성장하도록 돕는 사업이다. 김태형 교수는 ‘삼배엽체의 체외 고효율 자동 생성이 가능한 3차원 나노소재 다중 레이어 플랫폼 기술 개발’을 연구 주제로 선정, iPSC의 자동 분화 제어를 통해 고효율 삼배엽 자동 형성 및 상호작용 모사가 가능한 3D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김태형 교수는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은 가운데 이번 과제를 수행하게 되어 영광이다”며, “작성 과정에서 많은 지원을 해준 성균관대학교와 산학협력단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 동 연구실 구경모 박사후연구원, 세종과학펠로우십 국내트랙 선정… 미토콘드리아 기능 평가 플랫폼 기반 세포 역노화 기술 검증 연구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은 39세 이하,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의 젊은 과학자가 국가 핵심 과학기술 인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선정으로 구경모 박사후연구원은 5년간 총액 6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세포 역노화 모니터링을 위한 비표지·비파괴 미토콘드리아 기능 평가 다중 전기화학 플랫폼 개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구경모 박사후연구원은 “세포 역노화 기술 검증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성공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림1] 삼배엽체의 체외 고효율 자동 생성이 가능한 3차원 나노소재 다중 레이어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 개요도
▲[그림2] 세포 역노화 모니터링을 위한 비표지/비파괴 미토콘드리아 기능 평가 다중화 전기화학 플랫폼 개발 연구 개요도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